현재금융자산 1억원
목표하는 월 수익금(현재 자산 가치 기준) 만원
인플레이션(%) 저축(만원) 금융수익률(%) 모은금융자산 금융소득
1년차
파이어족을 얘기하는 사람들, 영상들을 접하면서 어느정도의 자산이 있으면 가능할 지 궁금해졌다.
파이어족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므로 내 기준으로 우선 정의 해보았고 다른 사람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 해보았다.
내 금융 자산을 굴려서 금융수익만으로 월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 되면 은퇴 해봄직 하지 않나 싶다.
우선 결과적으로 나는 월 300만원이면 괜찮은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목표를 잡았다.
재테크를 아주 잘 해서 매년 4% 금융수익을 얻는다고 가정했을 때
월 300만원의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-> 9억이 필요하다
현재 9억은 없으므로 9억을 벌기 위해서 몇 년을 일해야 하는지 계산하려 했는데 인플레이션도 고려 해야하더라
현재의 9억원은 매년 인플레이션 2%를 가정하면 20년 뒤에는 약 13억1천만원 정도가 된다.
내 기준 생활비인 월 300만원을 금융수익만으로 얻기 위해서는 20년 뒤에 13억1천만원 정도가 모여있어야 은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. 우선 원금을 깎아먹는 것은 고려하지 않았다.
내가 어떻게 20년동안 13억1천만원을 모을 것인지 계획이 필요해졌다. (최대한 아끼거나 더 번다는 가정을 하더라도 몇 년이 걸릴지 궁금해졌다)
회사에서 진급하며 봉급이 오르긴 하겠지만 나이가 들며 소비 수준도 달라질 것이므로 저축액을 변화시켜서 계산 할 필요와 인플래이션을 고려 할 필요가 있었다. 그래서 위와 같이 입력해서 계산을 하도록 했다.
"계산하기" 결과 총 자산은 참고용이고 몇 년차에 내 목표 월 수익금이 발생하는지가 중요하다.
- 인플레이션의 단위는 (%)이고 2.0%를 기본으로 했다. (경제를 잘 몰라서 적절한 값이 어떤 건지 몰랐으니 잘 아시는 분은 수정하시면 됩니다)
- 저축의 단위는 (만원)이다. 음수도 가능하다.
- 나는 은퇴 시점부터 원금이 깎이지 않고 금융수익으로만 생활하는 것을 가정했지만 원금을 깎아가며 죽을 때 쯤 소진하는 계획을 하셔도 되겠다.
- 금융수익률은 (가진 자산 + 해당 년차의 저축금) 의 수익률이다. 정확한 방법은 아니지만 해당 년차의 저축금도 재테크를 잘 해서 4%의 수익이 발생했다고 가정했다.
- 계산 값은 만원 단위 이하로 버림 했다.
매년 2퍼센트씩 물가가 상승하고 매년 3000만원 씩 저축하며, 금융소득은 매년 4퍼센트씩 이득을 본다고 할 때 26년차 때 비로소 2025년 현재 가치로 300만원에 해당하는 금액 수준이 나온다.
생각보다 빠른 은퇴하기가 쉽지 않아보인다. 다음엔 이 게시글을 보완해서 증액저축 플랜을 작성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 할거고 인플레, 수익률 고정 시 몇 년 차에 목표 수익이 나오는지 계산하는 것도 추가 하려고 한다.